쉬운 금융 상식

[쉬운 금융 상식] ISA 계좌만 있으면 세금이 0원? 투자자들이 몰리는 이유

그정이 2024. 12. 23. 16:00
728x90
반응형

 

ISA 계좌만 있으면 세금이 0원? 투자자들이 몰리는 이유
최대 400만 원 절세! 당신도 모르게 놓치고 있는 통장의 비밀

 

 

 

 

최대 400만 원까지 세금 줄일 수 있는 ISA 계좌

혹시 ISA 계좌(Individual Saving Account) 들어보셨나요? ISA 계좌는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쉽게 말하면,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면서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통장입니다.

ISA 계좌란 무엇인가요?

ISA 계좌의 정식 명칭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아래와 같은 두 가지 특징이 있어요:

  1. 다양한 금융상품 투자 가능: ISA 계좌를 통해 예금, 적금, 펀드, ELS(주가연계증권)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어요.
  2. 세금 절약 가능: 한 계좌로 모든 금융상품을 관리하면서 세금도 줄일 수 있답니다.

ISA 계좌로 얼마나 세금을 줄일 수 있나요?

  • 연봉 5,000만 원 이상 직장인: 수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
  • 연봉 5,000만 원 이하 직장인: 수익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
  • 비과세 기준을 초과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일반 소득세(15.4%)보다 낮은 9.9%의 세율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1. 일반 계좌에서
  • A 투자로 1,000만 원 수익
  • B 투자로 100만 원 손실
    → 일반 계좌에서는 이익(1,000만 원)에 대해서만 15.4% 세금을 내야 해서, 154만 원의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1. ISA 계좌에서
  • 같은 투자라면 손익을 합산해서 900만 원 수익으로 계산해요.
  • 여기서 200만 원은 비과세 혜택! 나머지 700만 원에 대해서만 9.9% 세율 적용 → 세금은 69만 3,000원만 납부하면 됩니다.
    ISA 계좌 덕분에 세금을 약 84만 원 절약한 셈이에요.

요즘 ISA 계좌 인기가 줄어드는 이유는?

  1. 금융투자소득세 도입 연기
    • 원래 2023년부터 주식 등 금융상품에서 연간 5,000만 원 이상의 수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려고 했어요.
    • 하지만 법 개정으로 2025년까지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어요.
    • 투자자들이 당장 세금 걱정을 덜게 되면서 ISA 계좌의 필요성이 줄었죠.
  2. 주식시장 부진
    • ISA 계좌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요:
      • 신탁형: 은행이나 증권사에 투자 방향을 요청
      • 일임형: 은행이나 증권사가 알아서 투자
      • 중개형: 직접 투자하는 방식
    • 주식시장이 좋지 않다 보니, 대부분 중개형을 사용하는 ISA 계좌의 인기가 떨어지고 있어요.

ISA 계좌 똑똑하게 활용하는 법

  1. 미리 만들어두기
    • ISA 계좌는 1년에 최대 2,000만 원씩, 총 5년간 1억 원까지 투자할 수 있어요.
    • 세금 혜택을 받으려면 3년 이상 유지해야 하므로, 돈을 당장 넣지 않아도 계좌를 만들어두면 나중에 유리합니다.
  2. 분산 투자 활용
    • 직접 투자가 걱정된다면 ISA 계좌에서 ETF(상장지수펀드) 등으로 분산 투자할 수 있어요.
  3. 연말정산 세액공제
    • ISA 계좌 만기 후 **연금저축이나 IRP(개인형 퇴직연금)**로 이체하면, 이체 금액의 **10%(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ISA 계좌는 세금을 줄이고 다양한 투자 상품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좋은 도구입니다. 미리 만들어두고 잘 활용해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