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은 왜 이렇게 바쁠까?
프리랜서에게 5월은 세금의 달이에요.
바로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이거든요.
지난 1년 동안 벌고 쓴 돈을 정리해서
국가에 세금 신고를 해야 하는 시기죠.
오래 일한 프리랜서들도 매번 헷갈려 하는데,
처음 세금 신고를 하는 분이라면 정말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쏙쏙 정리해 드릴게요!
❓3.3% 세금 이미 냈는데, 왜 또 내야 해요?
프리랜서로 일하면 보통
받기로 한 돈에서 3.3%를 떼고 돈을 받아요.
그래서 대부분 이렇게 생각하죠:
“이미 세금 낸 거 아니야? 또 왜 내?”
하지만 이 3.3%는
‘잠깐’ 먼저 낸 임시 세금이에요.
- 3.0%는 소득세
- 0.3%는 지방소득세
즉, 대략 이 정도 낼 거야~ 하고 미리 뗀 금액이죠.
실제로 내야 할 세금은 1년 전체 소득과 지출, 공제를 다 계산한 뒤
5월에 정식 신고를 통해 최종 확정되는 거예요.
그래서
- 미리 낸 세금보다 더 내야 할 수도 있고,
- 반대로 돌려받을 수도 있어요!
👩💻 프리랜서의 수입은 ‘사업소득’
프리랜서는 직장인(근로소득자) 과 달라요.
직장인은 회사가 세금 다 떼서 주지만,
프리랜서는 직접 신고해야 해요.
세법에서는 프리랜서를 이렇게 봐요:
“직원 없이 혼자 일하고 돈 받는 사람 = 인적용역 사업자”
그래서 프리랜서가 버는 돈 = 사업소득입니다.
사업소득은 금액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신고 대상이에요.
(심지어 수입이 얼마 안 돼도!)
📊 어떻게 신고하나요?
👉 신고 방법은 크게 2가지예요:
- 추계신고 – 장부 없이 추정치로 신고
- 기장신고 – 장부 써서 정확히 신고
① 추계신고 – 장부 없이, 추정치로
장부를 쓰지 않아도
국가가 정한 “경비율”을 적용해서
자동으로 경비를 계산해줘요.
이건 마치 이런 느낌이에요:
“이 업종이면 이 정도는 썼겠지~”
경비율에는 2가지가 있어요:
✅ 단순경비율
- 수입이 적은 프리랜서에게 적용
- 증빙자료 없어도 경비로 인정받는 비율이 높음
- 예) 연 수입 3,000만 원, 경비율 60%면
→ 1,800만 원은 경비로 인정
→ 1,200만 원만 세금 부과
✅ 기준경비율
- 수입이 일정 이상이거나 전문직이면 적용
- 교통비·통신비 등 일부 항목만 경비로 인정
→ 실제 지출을 잘 정리해 두는 게 중요해요!
💡전문직(변호사, 회계사, 약사 등)은 수입이 적어도 무조건 기준경비율!
② 기장신고 – 장부 써서 정확히
추계신고보다 정확하게 신고하는 방법이에요.
수입과 지출을 직접 기록한 장부를 기준으로 신고해요.
두 가지 방식이 있어요:
✅ 간편장부
- 이름처럼 간단한 방식
- 수입·지출을 가계부 쓰듯 입력하면 돼요
- 국세청 프로그램 이용 가능
- 실제 지출한 만큼 비용 인정
- 손해 본 해는 최대 15년까지 이월공제 가능!
✅ 복식부기
- 회계 지식이 필요한 전문적인 방식
- 수입·지출을 차변/대변으로 정식 기록
- 대신 절세 효과가 크고, 최대 100만 원 세금 감면도 가능
→ 세무사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아요
서비스업 프리랜서 기준:
연 수입 7,500만 원 이상이면 복식부기 의무
📂 내 업종에 맞는 신고 방식은?
업종에 따라:
- 적용되는 경비율도 다르고
- 기장신고 의무 기준도 달라요.
업종코드 확인은 꼭 필요해요!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요.
💸 예전에 세금 더 냈을지도 몰라요!
혹시 예전에 신고하면서
- 경비 빠뜨렸거나
- 공제 항목 놓쳤다면?
지금이라도 ‘경정청구’를 통해
최대 5년 전까지 다시 계산하고 환급받을 수 있어요!
✅ 정리!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핵심 체크리스트
3.3% 원천징수 | 임시로 뗀 세금, 정산은 5월에 직접 해야 함 |
프리랜서 수입 | 근로소득이 아닌 사업소득 |
추계신고 | 장부 없이 신고 (단순/기준 경비율) |
기장신고 | 장부 써서 정확히 신고 (간편장부 / 복식부기) |
절세팁 | 복식부기 신고하면 세액 공제 가능 |
실수 보완 | 경정청구로 5년 내 세금 환급 가능 |
'쉬운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이름으로 누가 계좌를 만들었다고요?! 막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0) | 2025.05.28 |
---|---|
손흥민은 주급인데 우리는 왜 월급일까? 충격적인 이유 (1) | 2025.05.21 |
20대라면 무조건 봐야 함. 집·돈 다 챙기는 꿀팁 공개 (4) | 2025.04.25 |
신용대출 vs 마이너스 통장, 뭐가 다른 걸까? (0) | 2025.04.23 |
“그깟 부업 신고 안 해도 되겠지”… 그 생각이 불러온 참사 (1)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