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저축과 투자, 어떻게 나누는 것이 좋을까?
1. 왜 저축과 투자를 나눠야 할까?
돈을 관리할 때, 모든 돈을 저축만 하거나 투자만 하면 한쪽에 너무 치우쳐서 위험할 수 있어요.
- 저축: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지만, 이자율이 낮아 큰돈을 만들기는 어려워요.
- 투자: 수익을 많이 낼 수 있지만, 손실을 볼 위험도 커요.
그래서 ‘저축과 투자를 적절히 분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2. ‘100-나이 원칙’이란?
‘100-나이 원칙’은 나이에 따라 저축과 투자의 비율을 정하는 방법이에요.
- 나이만큼 안전한 저축을 하고,
- ‘100-나이’만큼 투자를 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 30세 직장인 A씨
- 100 - 30 = 70% → 투자
- 30% → 저축
- 65세 은퇴자 B씨
- 100 - 65 = 35% → 투자
- 65% → 저축
이렇게 하면 젊을 때는 투자를 많이 해서 수익을 키우고, 나이가 들면 저축을 늘려서 안전하게 돈을 관리할 수 있어요.
3. ‘100-나이 원칙’으로 돈을 나누는 방법
예를 들어 40세 직장인 C씨가 매달 200만 원을 재테크에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 40%인 80만 원 → 저축
- 60%인 120만 원 → 투자
이제 이 돈을 더 세부적으로 나눠볼까요?
① 저축: 80만 원을 어떻게 나눌까?
- 비상예비자금 (초단기,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는 돈): 30만 원
- CMA(종합자산관리계좌), 수시입출금 통장 등에 보관
- 갑자기 급한 일이 생길 때 사용
- 적금 (단기, 1~3년): 50만 원
- 일반은행, 인터넷은행,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신협), 저축은행 등에서 가입
- 일정한 금액을 모아두는 용도
② 투자: 120만 원을 어떻게 나눌까?
- 중기 투자 (3~5년, 목표 자금 마련용): 60만 원
- 적립식 펀드, ETF, 혼합형 펀드 투자
- 여행자금, 학자금 등 3~5년 후 사용할 돈
- 장기 투자 (10년 이상, 미래 대비용): 60만 원
- 연금저축펀드, TDF(타깃데이트펀드), 장기 저축성 보험
- 노후 자금, 자녀 결혼 자금 등 오랜 기간 유지할 돈
이렇게 기간을 나눠서 투자하면 위험을 줄이면서도 꾸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어요.
4. 추가적인 재테크 팁
✔ 펀드 투자 시 온라인으로 가입하기
- 오프라인 창구보다 HTS(홈트레이딩시스템)나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로 가입하면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 오프라인: 수수료 약 1%
- 온라인: 수수료 약 0.5%
✔ 다양한 금융상품 활용하기
- 펀드 외에도 ETF, 공모주, 부동산 펀드 등 다양한 투자 상품을 고려해 볼 수 있어요.
✔ 목돈이 필요할 때를 고려해 거치식 투자 활용하기
- 적립식(매달 투자)만이 아니라 **거치식(한 번에 투자하고 장기간 보유하는 방식)**도 활용하면 좋아요.
5. ‘100-나이 원칙’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이 원칙을 그대로 따라야 하는 건 아니에요.
- 더 공격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투자 비율을 높이고,
- 안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면 저축 비율을 높이면 됩니다.
하지만, 기준이 없을 때는 이 원칙을 활용하면 손쉽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어요.
👉 내 나이에 맞는 저축과 투자 비율을 찾아보고, 재테크를 시작해 보세요! 🚀
728x90
반응형
'쉬운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 금융 상식] 이것도 모르고 주식한다고? 초보들이 꼭 알아야 할 필수 꿀팁! (0) | 2025.02.17 |
---|---|
[쉬운 금융 상식] "이걸 모르고 투자했다고?" 주식 초보들의 흔한 실수 (0) | 2025.02.14 |
[쉬운 금융 상식] 퇴사 후 후회하지 않으려면 ‘이 금액’은 필수! (0) | 2025.02.10 |
[쉬운 금융 상식] "파킹통장 vs 장기 예금" 당신의 선택은? (0) | 2025.02.07 |
[쉬운 금융 상식] 부자들은 다 안다는 ‘72법칙’, 이거 모르면 손해!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