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금융 상식

[쉬운 금융 상식] 역대 최대! 가계신용잔액 1,913조 원, 당신도 위험하다?

그정이 2024. 12. 10. 16:00
728x90
반응형

 

역대 최대! 가계신용잔액 1,913조 원, 당신도 위험하다?
집값 열풍에 터질 듯한 가계부채, 그 끝은 어디?

 

 

 

한국은행 3분기 가계신용 통계 발표

2023년 9월 말 기준, 가계신용잔액1913조 8,000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가계신용잔액: 가계가 보유한 모든 대출(부채)과 결제되지 않은 신용카드 사용 금액을 포함한 포괄적 빚을 의미합니다.

1. 분기별 가계신용 증가 추이

  • 가계신용은 매분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1분기에만 일시적으로 3조 원 감소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중입니다.
  • 특히, 이번 3분기에는 전 분기 대비 18조 원 증가하며 1,90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2. 가계부채 증가 원인: 주택 매입 열풍

  • 주택담보대출(주담대):
    • 1112조 1천억 원(3분기 기준)으로, 전 분기 대비 19조 4천억 원 증가.
    • 이는 전체 가계대출 증가분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 수도권 주택 매매 열기:
    • 수도권 주택 매매량이 급증하며 주담대 수요를 자극.
    • 작년 4분기: 5만 3,000호
    • 올해 1분기: 5만 9,000호
    • 올해 2분기: 8만 3,000호
    • 올해 3분기: 9만 6,000호

3. 가계부채 증가의 주요 배경

  1. 주택 매입 수요 급증:
    • 부동산 시장에서의 매수 심리 고조가 가계빚 증가의 핵심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
    •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시행(3분기 시작).
    • 대출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규제가 강화되기 전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요약

  • 가계신용잔액은 1913조 8,000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
  • 주담대가 가계부채 증가의 핵심 원인으로 작용.
  • 수도권 주택 매매량 급증대출 규제 강화 전 대출 수요가 맞물린 상황.
  • 앞으로 가계부채 증가 속도와 정부의 규제 강화가 부동산 시장 및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이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