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금융 상식

손흥민은 주급인데 우리는 왜 월급일까? 충격적인 이유

그정이 2025. 5. 21. 14:00
728x90
반응형

 

 

 

✅ 왜 우리는 월급을 받을까?

📌 1. 왜 하필 한 달에 한 번일까?

많은 사람들이 매달 10일, 25일쯤이면 기다리는 날이 있어요. 바로 월급날이죠. 일한 대가로 돈을 받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왜 꼭 한 달에 한 번일까요?

예를 들어, 손흥민 선수는 주급을 받는다고 하고, 외국 영화에서는 일주일마다 돈을 받는 장면이 종종 나와요. 그런데 우리는 왜 대부분 한 달 단위로 돈을 받을까요?

🕰️ 2. 역사적으로도 월급은 기본이었다

과거 조선 시대나 그 이전에도 한 달 단위로 급여를 주는 게 일반적이었어요.

예시:

  • 1882년 임오군란 당시, 구식 군인들이 여러 달째 급여를 못 받아 불만이 쌓였고, 결국 민란이 일어났어요. 이때도 급여 단위는 "한 달"이었어요.
  • 삼국사기에도 신라 경덕왕이 "매달 주던 녹봉(월급)"을 없애고 녹읍(토지)으로 바꿨다는 기록이 있어요. 삼국시대에도 급여는 한 달 단위였다는 말이죠.

왜 이렇게 됐을까요?

  • 우리 조상들은 음력(달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시간을 계산했어요. 그래서 '한 달'이라는 시간 단위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했어요. 월급도 그 기준에 따라 지급된 것으로 보입니다.

👷‍♂️ 화이트칼라 vs 블루칼라

📌 3. 모두가 처음부터 월급을 받은 건 아니다!

  • 과거에는 사무직(화이트칼라)만 월급을 받고,
    생산직(블루칼라)은 시급이나 일당을 받는 경우가 많았어요.
  • 1990년대 중반까지도 생산직 노동자들은 5년 이상 일해야 월급을 받을 수 있었어요.

예:
1995년 <경향신문> 기사에 따르면 대우조선 같은 대기업도 생산직에게 시급제에서 월급제로 전환하고 있었고, 근속 5년 이상자만 월급 대상이었어요.

😢 노동자들은 왜 월급을 원했을까?

  • 일당제는 하루하루 일해야 돈을 받는 구조예요.
    하루 아프거나 쉬면 소득이 바로 끊기죠.
  • 반면 월급제는 매달 정해진 급여가 나오니까 생활이 안정돼요.
  • 복지 혜택, 조퇴나 휴가, 초과 수당도 더 쉽게 받을 수 있어요.

그래서 많은 노동자들이 월급제 도입을 요구했고, 심지어 어떤 노동자는 분신자살까지 하며 월급제를 요구했어요.

“노동자여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습니다” — 1995년 대우조선 노동자 유서


🏢 기업들은 왜 월급제를 도입했을까?

기업 입장에서도 장점이 있었어요:

  • 직원들의 소속감 증가
  • 생산성 향상
  • 근무시간 체계 정립 (8시간 근무 등)
  • 복지 강화

예:
삼성전자는 1995년에 ‘한가족 플랜’이라는 이름으로 월급제를 도입하면서 여러 이점을 내세웠어요.

“생산성 향상, 근무 안정성, 삶의 질 향상 등”


💼 월급제 이후, 연봉제·비정규직의 등장

📌 4. 외환위기 이후의 변화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여 체계는 큰 변화를 겪었어요.
  • 연공서열제(오래 일할수록 임금 증가)는 줄고,
    연봉제능력 중심 임금제가 등장했죠.
  • 동시에 비정규직도 많아지면서 노동 시장이 불안정해졌어요.

그래서 정부는 월급을 기준으로 각종 법과 제도(4대 보험, 근로기준법 등)를 마련하게 되었어요.


🇰🇷 한국은 월급제, 🇺🇸 미국은 주급제?

  • 한국은 대부분 월급제
  • 미국은 많은 직장이 주급제2주 단위 급여를 채택해요.

→ 각 나라의 법과 제도도 이 급여 단위에 맞춰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바꾸기 어려워요.


🎯 결론: 월급이든 주급이든, 중요한 건 ‘안정성과 공정성’

  • 급여를 자주 받는다고 꼭 더 행복하거나 낭비하지는 않아요.
  • 중요한 건 노동자가 안정적으로, 정당한 대가를 받는 것이에요.
  • 과거 노동자들이 목숨 걸고 싸워 얻어낸 월급제,
    지금도 많은 이들이 공정한 대우를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어요.

💬 마지막 한 줄 요약

왜 월급이 한 달에 한 번이냐고요? 오래전부터 시간 단위가 ‘달’이었고, 노동자들이 안정적인 삶을 위해 그렇게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