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금융 상식

[쉬운 금융 상식] 이 집 사면 평생 후회 없이 산다고? 실거주 최적의 집 고르는 법!

그정이 2025. 3. 14. 17:00
728x90
반응형

 

 

실거주하기 좋은 집 고르는 법

집을 산다는 것은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머물 공간을 선택하는 중요한 결정이에요. 실거주용 집을 고를 때는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유지하면서도 집값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곳을 찾는 것이 중요하죠.
어떤 집을 고를지 고민될 때, 아래의 순서대로 하나씩 체크하면서 살펴보면 좋을 거예요.


1. 살고 싶은 지역 정하기

먼저, 어디에서 살고 싶은지를 정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오랫동안 살 집이므로 내가 생활하기 편한 지역을 선택하는 게 좋아요.

직장과 가까운지 확인하기 (직주근접성)

출퇴근이 편리한 지역을 선택하면 매일 이동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요.

  • 직주근접성이 좋은 집이란?
    단순히 회사와의 거리가 가까운 것이 아니라, 출퇴근 교통이 편리한 집을 말해요.
    🚇 지하철 / 🚎 버스 / 🚗 자동차 등 내가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이 편리하게 연결된 곳이 좋아요.
  • 서울・수도권의 경우
    • 강남, 여의도, 종로 같은 주요 업무지구와 가까운 곳이 인기 많아요.
    •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 교통망이 계속 확장되고 있어요.
    • 교통이 편리한 곳은 집값이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아요.
  • 서울・수도권 외 지역의 경우
    • 자동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도로 접근성이 더 중요해요.
    • 시내 중심지나 도로망이 잘 연결된 곳이 실거주에 유리해요.

상권과 생활 편의시설 확인하기

집 근처에 마트, 병원, 은행, 영화관, 쇼핑몰, 공원 등이 있는지 체크해야 해요.

  • 서울・수도권은 상권이 빠르게 형성되는 편이라, 현재는 부족해도 나중에 채워질 가능성이 높아요.
  • 서울 외 지역에서는 신도심보다 구도심이 이미 상권과 행정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편리해요.

학군 확인하기

자녀가 있거나 계획이 있다면 학교와의 거리도 중요해요.
특히, **초등학교와 가까운 아파트(초품아)**는 선호도가 높아서 집값이 안정적인 경우가 많아요.


2. 최소한의 평수 정하기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필요한 공간이 달라요.
내가 필요한 최소한의 평수를 미리 정하면 집을 고를 때 훨씬 수월해요.

📌 대략적인 기준

  • 1인 가구 → 10~15평대 (오피스텔, 원룸)
  • 신혼부부 → 20~30평대
  • 3~4인 가구 → 30평대 이상

3. 아파트 vs. 빌라 선택하기

집을 고를 때 아파트와 빌라 중 어떤 것이 더 나은지 고민될 수 있어요.
예산과 주거 환경을 고려해 결정하면 좋아요.

구분아파트 🏢빌라 🏠
건물 형태 5층 이상, 엘리베이터 있음 5층 이하, 엘리베이터 없는 경우 많음
관리 시스템 경비실, 주차장, 단지 관리 有 개별 관리, 주차 공간 협소
투자 가치 비교적 집값이 안정적 가격 상승 기대 어려움
생활 편의 부대시설(놀이터, 커뮤니티) 多 기본적인 주거 기능만 제공

💡 실거주 목적이라면?
아파트는 관리가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선호도가 높아요.
하지만 예산이 부족하면 빌라를 고려할 수도 있어요.


4. 발품 팔아서 직접 확인하기 (임장)

이제 선택한 지역과 집을 직접 보러 가야 해요!
집을 보러 가는 과정(= 임장)을 철저하게 준비하면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어요.

1️⃣ 미리 중개사무소와 연락하기

  • 원하는 지역의 부동산 중개사무소에 미리 연락해 집을 볼 수 있는 시간을 정해요.
  • 중개사무소를 여러 곳 방문하고, 조건에 맞는 집이 나오면 연락 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2️⃣ 동네 직접 돌아보기

  • 🚶‍♂️ 집 주변 도보 탐색: 실제로 걸어 다니면서 주변 환경을 확인해요.
  • 🚇 교통편 체크: 지하철역, 버스정류장이 얼마나 가까운지 확인해요.
  • 🏪 생활 편의시설 확인: 마트, 병원, 카페, 공원 등이 근처에 있는지 체크해요.

3️⃣ 집 내부 구조 살펴보기

집 내부 구조를 꼼꼼히 체크하는 것도 중요해요.

  1. 아파트 구조 확인하기
    • 판상형: 창이 양쪽으로 나 있어 통풍과 채광이 우수, 비교적 조용함
    • 타워형: 사생활 보호에 좋지만 통풍이 다소 약함

2️⃣ 용적률 확인하기

  • 조망권이 중요한 경우: 다른 건물과 너무 가깝지 않은지 확인해요.
  • 용적률이 너무 높은 곳은 피하는 게 좋아요. 200~250%가 적당한 수준이에요.

3️⃣ 층수에 따른 로얄층 확인하기
일반적으로 로얄층은 전체 층수의 70% 정도 되는 높이(예: 20층짜리 아파트면 14~18층)가 가장 인기 많아요.

  • 낮은 층: 접근성이 좋지만, 보안과 채광이 아쉬울 수 있음
  • 최상층: 층간소음 걱정 없음, 다만 단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있음

마무리하며

실거주용 집을 고를 때는 외관뿐만 아니라 직주근접, 상권, 교통, 학교, 내부 구조 등 여러 요소를 꼼꼼히 살펴야 해요. 특히, 장기적으로 거주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자신의 생활 패턴에 맞는지 잘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 좋은 집을 찾기 위해 직접 발품을 팔고, 여러 정보를 종합해서 만족스러운 선택을 하시길 바라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