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글

"내 이름까지 알고 보냈다…" 전국민 속고 있는 ‘이더리움 출금’ 사기 경고!

그정이 2025. 2. 23. 10:00
728x90
반응형

 

 

가짜 코인 출금 사기 수법 정리

최근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는 신종 사기 수법이 있습니다. 이 수법은 "휴면 계정 복구" 또는 "출금 예정 자산 확인"이라는 명목으로 사람들의 돈을 노리는 악질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개인의 본명을 포함한 문자 메시지로 신뢰를 얻고, 심리를 교묘하게 이용해 돈을 빼앗는 방식입니다.

📌 1. 문자 수신 – ‘출금 가능’ 미끼

  • "작년 7월에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니 이번 주까지 보유 중인 코인을 출금하라"는 문자 메시지가 온다.
  • "미출금 시 책임지지 않는다"는 식으로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든다.
  • 문자는 수신자의 실제 이름을 포함하고 있으며, 랜덤 스팸이 아닌 개인 맞춤형으로 보내진다.

📌 2. 코인의 가치 – ‘놓치면 손해’라는 심리 자극

  • 문자를 받은 사람이 사이트에 접속하면 본인 명의로 고액의 이더리움(ETH)이 있다고 표시됨.
  • 예를 들어, 55개의 이더리움(ETH)이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시세로 약 2억 원 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안내됨.
  • **"어차피 내가 손해 볼 건 없으니 일단 출금해보자"**라는 심리를 유도.

📌 3. 출금 신청 – 첫 번째 돈 요구 (수수료)

  • 출금 버튼을 누르면 대기 상태로 표시됨.
  • 거래소에서 출금하려면 코인 가치의 1%를 수수료로 먼저 입금해야 한다고 안내됨.
    • 예를 들어, 2억 원 상당의 이더리움을 출금하려면 약 200만 원을 입금해야 한다는 것.
  • 이미 출금 가능한 거액이 눈앞에 있으므로 사람들은 수수료 정도는 가볍게 지불하게 됨.

📌 4. 추가 입금 요구 – 세금 명목으로 돈 더 뜯어감

  • 수수료를 입금한 후에도 출금이 되지 않음.
  • "정부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비정상 소득으로 감지됐다"며, 출금을 위해 세금을 추가 납부해야 한다고 요구함.
  • 계속해서 추가 입금을 요구하며 돈을 빼앗아 가는 구조.

📌 5. 최종 결과 – 돈을 모두 잃게 됨

  • 계속해서 입금을 하면 결국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을 잃게 됨.
  • 하지만 애초에 출금할 수 있는 코인은 존재하지 않음.
  • 사기범들은 돈을 받은 후 연락이 두절되며, 피해자는 아무것도 돌려받을 수 없음.

🚨 이런 문자 받았다면? 절대 주의하세요!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 것.
카카오톡 고객센터, 가짜 거래소 사이트 등 사기 수법에 속지 말 것.
어떤 이유로든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 100% 사기!
의심스러우면 금융감독원(1332) 또는 경찰(112)에 신고할 것.

현재 금융감독원에서도 소비자 경보를 발령할 만큼 위험한 사기 수법이므로 이런 문자나 연락을 받았다면 가족, 지인과 공유하여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합시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