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아플 때 보는 정보

엄마들이 모르는 모기 물림 대처법, 이거 놓치면 후회합니다

그정이 2025. 1. 16. 16:00
728x90
반응형

 

모기 물려 가려운 아기, 약 잘못 쓰면 더 위험해질 수도?!

엄마들이 모르는 모기 물림 대처법, 이거 놓치면 후회합니다

아기가 모기 물렸는데 잘못하면 큰일 난다?! 꼭 알아야 할 대처법

 

 

아기 모기에 물렸을 때 대처법: 바르는 약, 먹는 약, 패치제


모기에 물리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모기에 물리면 모기의 타액 속 성분이 몸에 들어오게 되고, 우리 몸은 이를 외부 물질로 인식해 제거하려는 반응을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되는데, 이로 인해 가려움과 붓기가 생깁니다.


대처 방법

1. 초기 대응

  • 침을 바르거나 손톱으로 누르지 마세요.
    이런 행동은 세균이 감염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지양해야 합니다.
  • 냉찜질하기
    물린 부위를 차갑게 하면 혈관이 수축되면서 가려움증과 붓기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2. 아기의 연령에 따른 약 선택

  1. 생후 1개월 미만 신생아
    • 사용할 수 있는 약: 덱스판테놀(단일 성분) 연고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약입니다.
  2. 생후 1개월~30개월 미만의 아기
    • 사용할 수 있는 약:
      캄파, 멘톨, 살리실산 성분이 없는 소아 전용 제품
    • 가려움과 붓기를 줄여주는 항히스타민 성분 연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페니라민 성분 크림
  3. 생후 30개월 이상 유·소아 및 성인
    • 사용할 수 있는 약:
      대부분의 항히스타민제 연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패치제 사용 가능:
      패치제는 긁는 것을 방지하고 약 성분이 천천히 작용해 가려움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단, 약국에서 판매하는 의약외품 패치제는 약 성분이 들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니 확인 필요.)
  4. 증상이 심한 경우
    • 물린 부위가 붉고 단단해지고, 1~2일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을 때:
      소량의 스테로이드 연고(의사 또는 약사의 상담 후)
    • 너무 가려워서 잠을 못 자거나, 여러 군데 물린 경우:
      먹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증상이 빠르게 완화됩니다.
      예: 클로르페니라민, 세티리진 등

3. 병원에 가야 할 상황

  • 물린 부위가 심하게 부어오르거나 열이 나는 경우
  • 물집이 생기는 경우
  • 붓기가 가라앉지 않고 점점 심해지는 경우

이러한 증상은 스키터 증후군(모기 알레르기)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어린아이에게 자주 발생하며,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약 사용이 중요한 이유

적절한 약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1. 가려움과 붓기를 완화하여 염증 반응을 줄입니다.
  2. 긁는 행동을 줄여 흉터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항상 아기의 상태를 주의 깊게 살피고, 필요 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