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금융 상식
[쉬운 금융 상식] 한국 기업, 외국 투기자본 먹잇감 되나? 상법 개정안의 충격적 진실!
그정이
2025. 1. 8. 16:00
728x90
반응형
한국 기업, 외국 투기자본 먹잇감 되나? 상법 개정안의 충격적 진실!
소액주주도 경영 좌지우지? 상법 개정안이 불러올 대혼란
재계 초비상! 상법 개정안이 기업에 남길 최악의 결과는?
상법 개정안이 무엇인가요?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 의무를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내용이 핵심이에요. 현재 이사가 의무적으로 충실해야 하는 대상은 '회사'로 한정되지만, 개정안은 이사를 '주주'에게도 충실해야 하는 의무를 부여하겠다는 것이죠.
정부와 재계는 왜 우려할까요?
- 외국 투기자본에 대한 경영권 위협
- 상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해외 사모펀드 같은 외국 투기자본이 국내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져요.
- 이들이 주주 권리를 주장하며 경영에 과도하게 개입하면, 기업은 이를 막기 위해 회사의 재원을 방어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이 과정에서 자원이 낭비되고,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거죠.
- 소송 남발 가능성
- 개정된 상법은 행동주의 펀드나 소액주주가 이사의 경영 활동에 쉽게 개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요.
- 예를 들어, 주주 충실 의무를 이유로 배임죄나 사기죄 소송을 남발하면,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위축될 수 있어요.
- 재계의 반발
- 국내 재계에서는 두 가지 주요 조항을 '독소조항'으로 보고 있어요.
- 집중투표제 도입
집중투표제는 주주가 가진 한 주당 이사를 선임할 표를 여러 명에게 나눠 투표하거나, 한 명에게 몰아서 투표할 수 있게 해요.
이로 인해, 대주주나 경영진이 반대하는 이사가 선출될 가능성이 높아져요. - 감사위원 분리 선출 강화
감사위원을 독립적으로 선출하되, 대주주의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조항이에요.
이 경우, 대주주가 아닌 소액주주가 감사위원 선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 집중투표제 도입
- 국내 재계에서는 두 가지 주요 조항을 '독소조항'으로 보고 있어요.
해외 사례는 어떤가요?
- 미국과 일본도 과거에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했다가, 현재는 기업의 자율에 맡기고 있어요.
- 현재 집중투표제를 강제로 시행하는 국가는 러시아,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소수에 불과해요.
정부가 입장을 바꾼 이유는요?
처음에는 상법 개정을 지지했지만, 기업들의 반발과 부작용 우려로 인해 입장을 바꿨어요.
정부는 상법 개정안이 기업의 경영권을 위협할 수 있다고 보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을 제안했어요.
정부의 대안: 자본시장법 개정
정부는 상법 개정 대신,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투자자 보호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병행하자고 제안했어요.
예를 들어:
- 합병이나 분할 과정에서 문제가 됐던 사항들을 개선
- 소액주주 보호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을 강화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상법 개정을 주도하는 민주당 ‘대한민국 주식시장활성화 TF’는 재계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에요.
개정안의 향방은 재계와 정치권의 합의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728x90
반응형